본격 웹3 개발자 시동 중. 오픈소스 기여하고 글리치/루틴 탱글쓰레드도 시작해요!
성공의 방정식은 개인마다 다르겠지만, 확실한 공식은 해커톤은 초심자가 웹3에 다양한 연결점을 만들어내는 매개체라고 느꼈어요! 열정을 이어갈 해커톤들을 함께 소개합니다.
사진이 없어 화려한 솔로 제니로 대신합니다. 🎵BGM 깔기
안녕하세요. 저는 개발자로 5년간 다양한 회사를 다니다, 지금 새로운 경험을 찾고 있는 지송이라고 합니다. 죄송한데, 지송이 본명은 아닙니다 지난 5월 글리치가 첫 번째 해커톤이었는데, 그 이후 3개 해커톤을 참여했고요. 앞으로 2개의 해커톤을 더 출전할 계획입니다.
글리치가 추천하는 해커톤이니까 좋겠지 하고 나가봤어요. 이렇게 상까지 받을 줄 알았았다면, 베트남 비행기표를 끊어놨을텐데. 글리치 디스코드에 자랑했는데 라이크와 댓글 달아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무플이었으면 슬펐을 거예요. 제가 흔치않은 MBTI F인 개발자라서🥹
GM베트남 해커톤에서는 NFT Score라는 프로젝트를 제출했는데요. NFT 컨트랙트 주소를 넣으면 프로젝트가 안전한지 평가해줍니다. GoPlus API를 활용해서 컨트랙트에 러그풀(Rug Pull, 프로젝트를 중단하고 투자금을 빼돌리는 사기 수법) 관련 리스크가 있는지 검사할 수 있어요.
비결은 바로 ‘운’ 입니다. 제가 럭키 가이입니다. 상을 받은 2개의 트랙에서 모두 경쟁률이 적었어요. 사실 다른 해커톤에서는 경쟁률 높은 곳을 용감하게객기부려 선택했더니, 눈물만 훔치다가 온 적도 있거든요.
물론, 나름대로 저만의 팁이 있긴 한데요.
제가 웹3는 아직 무지해서 개발자로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트랙을 선정해요.
개발 과제가 구체적이면, 경쟁하는 사람이 적어져서 상을 받을 확률이 높아져요.
어떤 형태든 상을 받으면 다양한 기회가 열려요. 이렇게 인터뷰도 하고 GoPlus와 인연이 되어 오픈소스로 기여도 하고 있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