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 입장!

<aside> 💡 안녕하세요. 글리치의 수진킨입니다. 해커톤씬에 돌아다니면 기획자로서 포지션이 굉장히 생소할 수 있는데요!

🧑🏻‍💻 개발자는 코딩 언어 배우며 뚝딱하고,

👩🏻‍🎨 디자이너는 화면 UI 바쁘게 치는데,

🤯 기획은 뭘 해야할지 감이 안 잡혀요

하지만 기획은 여전히 중요해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제가 기획자로서 참여했던 2개의 프로젝트 중간 과정을 함께 공유하면서 스터디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

</aside>

기획자들이 어떻게 하면 해커톤에서 그리고 더 나아가 Web3에서 능력을 증명할 수 있을까요? 바로 개발자들과 디자이너들에게 전략적 방향을 제시해주고, 우리 제품의 중요성을 세상에 잘 알리는 역할을 하는 것이지요!

그러려면 시장을 끊임없이 학습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해내는 루틴이 중요해요. 이런 건 결코 강의나 일방향적 코스에서 배울 수 없는 스킬이죠! 나 스스로 그 알을 깨고 나와야 해요.

그래서 소개합니다. Do Your Own Research. 줄여서 Dior 아니… DYOR. 5월 19일 해커톤까지 남은 기간 동안 해커톤 프로덕트 런칭을 위해 누가 알려주는 것이 아닌 같이 또 따로 스터디를 시작해봐요!

Untitled

주제 일정 (수요 조사 기반으로 요일 변경 가능)
Kick-off 기획자로서 해커톤 경험기와 앞으로 4주동안 어떤 내용으로 운영할지 4월 16일 일요일
1주차 Infra, DEFI, NFT, DAO. 이 중에서 나는 어떤 트랙을 선택할건지, 그 이유에 대해 생각해봐요. 4월 23일 일요일
2주차 내가 선택한 분야의 프로덕트 동향을 살펴보고 하나를 골라 분해해봐요. 4월 30일 일요일
3주차 내가 기획하려는 프로덕트의 Problem과 Solution을 뾰족하게 작성해봐요. 5월 07일 일요일
4주차 MVP에 시연할 수 있을 정도의 UX 플로우와 발표 전략을 세워봐요. 5월 14일 일요일
  1. 디스코드 안에서 리서치 내용을 공유하며, 서로에게 자극을 주는 러닝메이트의 역할을 합니다.
  2. 일주일에 한번 중간 점검, Q&A 그리고 다음 과제 안내가 진행됩니다.
  3. 요일은 참가자들이 모이면 합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매주 과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가이드와 사례를 드릴 예정이며 제가 기획자로서 참여했던 2개의 프로젝트 중간 과정을 함께 공유하면서 스터디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